데이터 코딩랩
[03-1] if 문 본문
>>> money = True
>>> if money:
... print("택시를 타고 가라")
... else:
... print("걸어 가라")
...
택시를 타고 가라
조건문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게 설정하고 싶다면?
주머니에 돈이 있으면 가만히 있고, 주머니에 돈이 없으면 카드를 꺼내라.
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pass이다. 위 예를 pass를 적용해서 구현해 보자.
>>> pocket = ['paper', 'money', 'cellphone']
>>> if 'money' in pocket:
... pass
... else:
... print("카드를 꺼내라")
...
pocket 리스트 안에 money 문자열이 있기 때문에
if 문 다음 문장인 pass가 수행되고 아무런 결괏값도 보여 주지 않는다.
조건부 표현식
score가 60 이상일 경우 message에 문자열 "success",
아닐 경우에는 문자열 "failure"를 대입하는 코드
if score >= 60:
message = "success"
else:
message = "failure"
한줄로
message = "success" if score >= 60 else "failure"
변수 = 조건문이_참인_경우의_값 if 조건문 else 조건문이_거짓인_경우의_값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int() (0) | 2025.04.16 |
---|---|
리스트 컴프리핸션 (0) | 2025.04.16 |
팩토리얼 계산하기 (0) | 2024.08.13 |
파이썬 append() 함수, 예제 (0) | 2024.05.07 |
점프 투 파이썬 목차 - 위키독스 (2) | 2024.03.22 |